한자익히기327 천자문 배우기!! (두고종예 칠서벽경) 두고종예(杜稿]鍾隸) 칠서벽경(漆書壁經)은 천자문의 61번째 구절입니다. 두고종예(杜稿]鍾隸)는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 우리말을 기록하던 표기법 중 하나입니다. 이두는 한자 원래의 의미를 살려서 표기하는 방식과 음과 새김의 발음만을 차용하여 표음문자인 우리말을 기록하는 방식이 있었습니다. 이두는 설총이 창작했다고 하는데, 그때까지 발달해 온 차자표기법을 설총이 정리하여 경서를 우리말로 주해하고 새겼다고 보는 것이 타당합니다. 이두는 훈민정음 창제 후에는 그 존재가치를 상실했으나 일부 서리계층에서 사용하던 이서지체라는 문체에 남아 국한문혼용체로 대체될 때까지 계속 사용되었습니다. 이두문체는 한자의 문법과 국어의 문법이 혼합된 문체로, 한문문법이 강하게 나타날 때도 있고 국어문법이 강하게 나타날 때도 .. 2024. 7. 14. 천자문 배우기!! (기집분전 역취군영) 기집분전(旣集墳典) 역취군영(亦聚群英)은 천자문의 60번째 구절입니다. 기집분전(旣集墳典) 은 이미 삼분(三墳)과 오전(五典)을 모았다. 여기서 삼분은 삼황(三皇)의 사적(事迹)을 기록한 서적(書籍)을 의미하며, 오전은 오제(五帝)의 세계(世系)를 기록한 서적입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旣 (이미 기): 旡 (목멜 기)와 皀 (고소할 급) 자가 결합한 것입니다. 皀자는 식기를 그린 것으로, 旣자의 갑골문을 보면 식기 앞에 고개를 돌린 채 입을 벌린 사람이 그려져 있습니다. 이는 식사를 마친 사람이 트림하는 모습을 표현한 것입니다. 따라서 旣는 이미 거나하게 식사를 끝냈다는 의미로 이미나 이전에라는 뜻을 갖게 되었습니다.集 (모을 집): 이 글자는 나무 위에 새가 앉아있는 모습을 .. 2024. 7. 13. 천자문 배우기!! (우통광내 좌달승명) 우통광내(右通廣內) 좌달승명(左達承明)은 천자문의 59번째 구절입니다. 우통광내(右通廣內)는 정전의 오른쪽은 궁전의 책들이 보관되어 있는 광내전으로 통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右 (오른쪽 우): 오른쪽을 의미합니다. 通 (통할 통): 통하다, 연결되다를 나타냅니다.廣 (넓을 광): 넓다, 광활하다를 의미합니다.內 (안 내): 안, 내부를 나타냅니다. 좌달승명(左達承明)은왼쪽은 학자들이 서적과 사서를 교열하는 승명려에 이른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左 (왼 좌): 왼쪽을 의미합니다.達 (통달할 달): 통달하다, 이루다를 나타냅니다.承 (이을 승): 이어지다, 받아들이다를 의미합니다.明 (밝을 명): 밝다, 빛나다를 .. 2024. 7. 12. 천자문 배우기!! (승계납폐 변전의성) 승계납폐(陞階納陛) 변전의성(弁轉疑星)은 천자문의 58번째 구절입니다. 승계납폐(陞階納陛)는 궁중의 규정된 의식 중 하나로, 관료들이 임금 앞으로 나아가는 중요한 순간을 상징합니다. 문무백관, 즉 문관과 무관, 다시 말해 나라를 다스리는 관료들이 계단을 올라 임금 앞으로 나아가는 절차를 말합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陞 (오를 승): 오르다 또는 승진하다와 같은 뜻을 가지며, 승계납폐에서는 관들이 계단을 오르는 모습을 상징합니다. 階 (섬돌 계): 단계를 의미하며, 승계납폐에서는 계단을 밟아 올라가는 단계를 나타냅니다. 納 (들일 납): 분별하다를 의미하며, 승계납폐에서는 분별하며 올라서는 것을 표현합니다. 陛 (대궐 섬돌 폐): 오르다를 의미하며, 승계납폐에서는 처마 아래로 비 안.. 2024. 7. 11. 천자문 배우기!! (사연설석 고슬취생) 사연설석(肆筵設席) 고슬취생(鼓瑟吹笙)은 천자문의 57번째 구절입니다. 사연설석(肆筵設席)은 대자리를 늘어놓고 술자리를 베푼다는 뜻으로 자리를 베풀고 돗자리를 베푸니 연회하는 좌석을 의미합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肆 (방자할 사): 베풀다, 방자하다, 나머지, 늘어놓다, 늦추다, 악장 이름의 의미입니다. 돗자리를 한 겹 두 겹 깔고서, 연회하는 좌석을 베풀고 자리를 마련합니다.筵 (대자리 연): 자리, 대자리, 좌석, 곳, 장소, 연회의 의미입니다. 얇은 대오리를 엮어 만든 자리를 의미합니다.設 (베풀 설): 베풀다, 세우다, 설립하다, 갖추어지다, 온전하다의 의미입니다. 귀빈을 접대하기 위해 돗자리를 펴서 좌위를 정한 후 자리를 마련합니다.席 (자리 석): 자리, 앉을 자리, .. 2024. 7. 10. 천자문 배우기!! (병사방계 갑장대영) 병사방계(丙舍傍啓) 갑장대영(甲帳對楹)은 천자문의 56번째 구절입니다. 병사방계(丙舍傍啓)는 신하들이 머무는 집은 양옆으로 나란히 열려 있고, 길게 친 장막은 기둥 양쪽에 걸려 있습니다. 이는 궁중의 건물 배치를 표현하며, 정전 앞의 건물인 병사(丙舍)는 정전(正殿)의 좌우에 배치되어 있습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丙 (남녘 병): 남녘, 불, 태양의 뜻입니다. 舍 (집 사): 집이나 건물을 나타냅니다. 傍 (곁 방): 사람의 옆이나 곁을 뜻합니다. 啓 (열 계): 집 문을 여는 것을 나타내며, 열다, 일깨워주다의 뜻입니다. 甲帳對楹(갑장대영)은 아름다운 갑장(甲帳)이 기둥을 대하였으니, 동방삭(東方朔)이 갑장(甲帳)을 지어 임금이 잠시(暫時) 정지(停止)하는 곳입니다. 甲帳은.. 2024. 7. 9. 천자문 배우기!! (도사금수 화채선령) 도사금수(圖寫禽獸) 화채선령(畫綵仙靈)은 천자문의 55번째 구절입니다. 도사금수(圖寫禽獸)는 궁전(宮殿) 내부(內部)에 유명한 화가들이 그린 그림 조각 등으로 장식되어 있음을 뜻합니다. 궁전 내부를 아름답게 장식하는 그림과 조각들을 의미합니다. 날짐승과 길짐승을 통틀어 금수라 하고, 달리는 짐승을 수라고 합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圖 (그림 도): 그림, 꾀하다, 하도 (河圖)의 약칭, 법, 그리다를 뜻합니다.寫 (베낄 사): 베끼다, 부리다, 내림, 그리다, 본뜨다를 뜻합니다.禽 (날짐승 금): 날짐승, 짐승, 사로잡다, 금수 (禽獸)의 총칭, 사로잡힘을 뜻합니다.獸 (짐승 수): 짐승, 포 (脯), 말린 고기, 야생 (野生) 동물을 뜻합니다. 화채선령(畫彩仙靈)은 그림을 .. 2024. 7. 8. 천자문 배우기!! (궁전반울 누관비경) 궁전반울(宮殿盤鬱) 누관비경(樓觀飛驚 )는 천자문의 54번째 구절입니다. 궁전반울(宮殿盤鬱)은 천자가 기거(起居)하는 궁전의 위용(威容)을 묘사(描寫)한 것입니다. 넓은 곳에 빽빽이 들어차 있는 커다란 궁물론입니다. 궁전은 모여 빽빽하고 높은 집(처마, 누각)은 (새가) 놀라 날아가는 듯하다는 뜻입니다. 궁전과 누관의 화려함과 높이 솟은 모습이 보는 사람을 놀라게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宮殿 (궁전)宮 (집 궁): 원래는 귀천을 가리지 않고 거주하는 가옥을 의미했습니다. 그러나 진한 이후에는 천자가 머무는 곳으로 쓰이게 되었습니다. 이는 천자의 평상시 거소인 전각을 가리킵니다. 殿 (전각 전): 정사를 보는 곳을 말합니다. 궁전의 뜻입니다. 盤鬱 (반울)盤.. 2024. 7. 6. 천자문 배우기!! (배망면락 부위거경) 배망면락(背邙面洛) 부위거경(浮渭據涇)는 천자문의 53번째 구절입니다. 배망면락(背邙面洛)은 북망산을 등 뒤로 하여 낙수를 바라보고 있으며, 위수에 떠서 경수에 의거한다는 뜻을 갖고 있습니다. 이 글자는 동경의 위치를 가리키고, 부위는 서경의 위치를 가리키고 있습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背 (등 배): 北 (북녘)자와 ⺼ (육달 월)자가 합쳐진 모습입니다. 등 뒤라는 뜻으로 쓰였었습니다. 邙 (북망산 뫼): 마을, 뫼, 북망산의 뜻을 가진 글자입니다.面 (낯 면): 사람의 머리둘레와 눈을 특징지어서 그린 상형문자입니다. 얼굴, 표정, 겉모습이라는 뜻으로도 쓰입니다.洛 (물이름 락): 물이름 또는 서울이란 뜻을 가진 글자입니다. 부위거경(浮渭據涇)은 위수(渭水)에 뜨고 경수(.. 2024. 7. 4. 천자문 배우기!! (도읍화하 동서이경) 도읍화하(都邑華夏) 동서이경(東西二京)는 천자문의 52번째 구절입니다. 도읍화하(都邑華夏)는 옛 중국의 도읍이라는 뜻이며, 동쪽과 서쪽에 있는 두 서울을 지칭합니다. 동경은 낙양(東京)이고, 서경은 장안(西京)입니다. 당시 중국을 지칭하는 말입니다. 중국은 자기 나라의 국명으로 “中國” (중국), “中華” (중화), “華夏” (화하)로 불렸으며, 세계의 대국이자 이 세상의 중심임을 자랑했습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都 (도읍 도): 황제의 궁궐이 있는 곳을 말합니다. 또한 도읍(都邑)의 지위를 나타내기도 합니다. 邑 (고을 읍): 고을이나 도시를 의미합니다. 이 글자는 사람들이 모여 사는 도읍을 표현한 것입니다. 華 (빛날 화): 원래는 꽃을 뜻했으며, 지금은 '화려하다’라는 뜻.. 2024. 7. 3. 천자문 배우기!! (견지아조 호작자미) 견지아조(堅持雅操) 호작자미(好爵自縻)는 천자문의 51번째 구절입니다. 견지아조(堅持雅操)는 맑은 절조(節操)를 굳게 가지고 있으면 나의 도리(道理)를 극진(極盡)히 하는 것을 이르는 말입니다. 굳은 절조를 지키고 바른 행동을 통해 나의 도리를 극진히 실천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堅 (굳을 견): 굳다, 강하다, 좋다, 굳어지다, 갑옷을 의미 합니다.持 (가질 지): 가지다, 보전하다, 지키다, 돕다, 대항하다를 의미 합니다.雅 (맑을 아): 바르다, 떼까마귀, 큰부리까마귀, 우아하다, 좋다를 의미 합니다.操 (잡을 조): 잡다, 절개, 쥠, 절조, 가짐을 의미 합니다. 好爵自縻(호작자미)는 좋은 벼슬이 저절로 엮여 온다는 말입니다. 스스로 벼슬을 얻게 되니.. 2024. 7. 2. 천자문 배우기!! (수진지만 축물의이) 수진지만(守眞志滿) 축물의이(逐物意移)는 천자문의 50번째 구절입니다. 수진지만(守眞志滿)은 진리를 지키면 마음이 흡족해지고, 물질을 추구하면 뜻이 옮겨진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는 우리가 성실하고 정직한 마음으로 진리를 따르면 행복을 누리고, 욕심만을 쫓으면 마음이 흔들리게 된다는 교훈입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守 (지킬 수): 지키다를 의미합니다. 집안의 위계질서를 지키기 위해 촌수를 따져 항렬을 정리하는 모습을 상징합니다. 眞 (참 진): 진리를 의미합니다. 선비의 곧은 마음으로 참된 도리를 지키면 마음이 흐뭇해지며, 물질적인 것만을 추구하면 마음이 동요한다는 교훈이 담겨 있습니다. 志 (뜻 지): 뜻을 의미합니다. 선비로서의 곧은 마음이라는 데서 '뜻’이란 의미를 .. 2024. 7. 1. 이전 1 ··· 19 20 21 22 23 24 25 ··· 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