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자 공부/부수자 및 천자문 배우기139

천자문 배우기!! (천자문 113번째 : 여라독특 해약초양) 여라독특(驢騾犢特) 해약초양(駭躍超驤)은 천자문의 113번째 구절입니다.    여라독특(驢騾犢特)은  나귀, 노새, 송아지, 수소와 같은 가축들을 의미합니다. 이 가축들이 번성하면 백성들의 삶이 편안하고 생활이 부유하여 천하가 태평하다고 여겼답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驢(나귀 려) : 말과 비슷하지만 몸이 작고 귀가 긴 동물입니다.騾(노새 라) : 암말과 수나귀 사이에서 태어난 잡종 동물로, 말보다 작습니다.犢(송아지 독) : 어린 소를 의미합니다.特(특별할  특) : 특별하다, 뛰어나다, 달리다 등을 의미합니다. 여기서는 수소(수컷 소)를 의미합니다.  해약초양(駭躍超驤)은 놀라서 뛰고 달리는 모습을 묘사한 표현입니다. 이 표현은 가축들이 놀라서 뛰어오르고 달리는 모습을 상징적으.. 2024. 9. 4.
천자문 배우기!! (천자문 112번째 : 해구상욕 집열원량) 해구상욕(骸垢想浴) 집열원량(執熱願凉)은 천자문의 112번째 구절입니다.    해구상욕(骸垢想浴)은 몸에 때가 끼면 목욕(沐浴)하기를 생각함을 나타냅니다. 이 표현은 인간에게 더러움을 싫어하는 본성이 있음을 말합니다. 이 표현은 우리의 내면에서 더 나은 삶을 추구하는 욕망을 담고 있습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骸 (해골 해) : 해골, 뼈, 정강이뼈, 몸, 뼈만 남은 시신을 의미합니다.垢 (때 구) : 때, 먼지, 때묻다, 수치, 찌꺼기를 나타냅니다. 때는 더러움이나 불순한 것을 의미합니다. 想 (생각 상) : 생각을 나타내는 한자입니다. 우리 마음 속에서 떠오르는 아이디어나 상상력을 표현합니다. 浴 (목욕할 욕) : 목욕하다, 미역, 미역감기다, 입다, 새가 나는 모양을 의미합니다... 2024. 9. 3.
천자문 배우기!! (천자문 111번째 : 전첩간요 고답심상) 전첩간요(牋牒簡要) 고답심상(顧答審詳)은 천자문의 111번째 구절입니다.    전첩간요(牋牒簡要)는 편지와 문서는 간략하고 요점을 잘 정리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즉, 서신을 주고받을 때는 내용이 번잡하지 않고 간단명료하게 작성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牋 ( 편지 전) : 종이, 편지를 뜻하는 한자입니다. 고대에는 나무 조각에 글을 적어 편지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牒 ( 문서 첩) : 편지, 문서를 뜻하는 한자입니다. 나뭇잎처럼 얇게 만든 나무 조각에 글을 적어 사용했습니다.簡 ( 간단할 간) : 간단할, 대쪽을 뜻하는 한자입니다.要 ( 요긴할 요) : 중요할, 요긴할을 뜻하는 한자입니다. 본래 허리를 의미했으나, 후에 중요한 것을 뜻하게 되었습니다.   고답심.. 2024. 9. 2.
천자문 배우기!! (천자문 110번째 : 계상재배 송구공황) 계상재배(稽顙再拜) 송구공황(悚懼恐惶)은 천자문의 110번째 구절입니다.    계상재배(稽顙再拜)는 이마를 땅에 대고 두 번 절하며, 매우 미안하고 두려운 마음을 표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상대방에 대한 깊은 존경과 공경을 나타내며, 매우 엄중하고 정중한 태도를 취하는 것을 뜻합니다. 이 표현은 주로 한문 투의 편지글에서 상제(喪制)가 상대편에 대한 경의를 표하기 위해 사용되며, 매우 미안하고 두려운 마음을 담고 있습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稽 (조아릴 계) : 이마를 땅에 대고 절하는 것을 의미합니다.顙 (이마 상) : 이마를 뜻합니다.再 (다시 재) :  두 번을 의미합니다.拜 (절 배) :  절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송구공황(悚懼恐惶)은 매우 두렵고 미안한 마음을 표.. 2024. 9. 1.
천자문 배우기!! (천자문 109번째 : 적후사속 제사증상) 적후사속(嫡後嗣續) 제사증상(祭祀蒸嘗)은 천자문의 109번째 구절입니다. 적후사속(嫡後嗣續)은 적자(嫡子)된 자, 즉 장남이 뒤를 계승하여 대를 이음을 의미합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嫡 (정실 적) : 본처를 의미하며, 본처가 낳은 아들 또는 맏아들이라는 뜻도 있습니다.後 (뒤 후) : 뒤떨어지다나 뒤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嗣 (이을 사) : 잇다, 계승하다라는 뜻을 나타냅니다.續 (이을 속) : 잇다, 이어지다, 계속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제사증상(祭祀蒸嘗)은 제사 (祭祀)를 치르되, 겨울 제사를 증(蒸)이라 하고 가을 제사를 상(嘗)이라 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제사 관례는 곡식의 불어남을 조상께 바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 2024. 8. 31.
천자문 배우기!! (천자문 108번째 : 교수돈족 열예차강) 교수돈족(矯手頓足) 열예차강(悅豫且康)은 천자문의 108번째 구절입니다.    교수돈족(矯手頓足)은 손을 들고 발을 구르며 춤을 춘다는 의미로, 기쁘고 즐거운 상태를 표현합니다. 잔치나 축제에서 사람들이 흥에 겨워 춤추는 모습을 묘사한 것입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矯 (바로잡을 교) :  화살을 바로잡는다는 의미에서 바로잡다라는 뜻을 가집니다.手 (손 수) :  다섯 손가락을 펴고 있는 손의 모양을 그린 글자입니다.頓 (조아릴 돈) :  머리를 숙여 존경을 표하거나 애원하는 모습을 나타냅니다.足 (발 족) :  발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발이나 만족하다라는 뜻을 가집니다.   열예차강(悅豫且康)은 마음이 편안하고 즐겁게 살며 단란한 가정을 이루는 것을 뜻합니다. 이상(以上)과 같이.. 2024. 8. 30.
천자문 배우기!! (천자문 106번째 : 주면석매 남순상상) 주면석매(晝眠夕寐) 남순상상(藍筍象床)은 천자문의 106번째 구절입니다.   주면석매(晝眠夕寐)는 낮에는 누워서 쉬고 밤에는 수면을 취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한가한 사람이 자신에게 알맞게 휴식을 취하는 모습을 묘사합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晝 (낮 주) : 낮을 뜻하며, 글공부하기 좋은 시간대를 나타냅니다.眠 (잘 면) : 눈을 감고 잔다는 뜻으로 자다를 표현합니다.夕 (저녁 석) : 저녁을 뜻하며, 이 글자는 달빛이 구름에 가려진 모습이라 하여 저녁을 의미합니다.寐 (잘 매) : 잘 자다나 죽다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남순상상(藍筍象床)은 대나무(竹筍)와 상아(象牙)로 꾸민 침상(寢床)입니다. 한가한 사람이 편안하게 쉴 수 있는 상황을 묘사하는 표현입니다. 각 한자의 음과 .. 2024. 8. 29.
천자문 배우기!! (천자문 107번째 : 현가주연 접배거상) 현가주연(接杯擧觴) 접배거상(接杯擧觴)은 천자문의 107번째 구절입니다.    현가주연(接杯擧觴)은 거문고를 타며 술과 노래로 잔치함을 의미합니다. 이것은 고대 중국에서 귀족들이 술잔을 들고 노래하며 잔치하는 장면을 묘사한 표현입니다. 이런 잔치에서는 점잖게 잔을 들어 올려 권하며 즐거운 시간을 보낸다고 합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絃 (줄 현) : 가느다란 실을 뜻하며, 현악기의 줄을 상징합니다.歌 (노래 가) : 입을 벌리고 있는 모습의 노래 가를 의미합니다.酒 (술 주) : 술을 나타내는 글자입니다.讌 (잔치할 연) : 잔치를 의미하며, 여기서는 노래하며 술을 마시는 잔치를 말합니다.   접배거상(接杯擧觴)은 작은 잔과 큰 잔을 서로 주고받으며 즐기는 모습을 표현한 것입니다. 잔.. 2024. 8. 28.
천자문 배우기!! (천자문 105번째 : 환선원결 은촉휘황) 환선원결(紈扇圓潔) 은촉휘황(銀燭煒煌)은 천자문의 105번째 구절입니다.    환선원결(紈扇圓潔)은 흰 비단으로 만든 부채가 둥글고 깨끗하다는 상징적인 표현입니다. 이 한자는 선비의 방 안에 있는 장식품으로 품위를 나타내는 글이기도 합니다.  흰 비단으로 만든 부채가 둥글고 깨끗하다라는 아름다운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紈(비단 환) : 흰 비단으로 만든 부채를 뜻하며, 흰 비단이나 고운 비단을 의미합니다.扇(부채 선) : 문짝을 뜻하며, 문짝을 의미하며, 후에 부채나 부채질하다 등의 뜻도 가지게 되었습니다.圓(둥글 원) : 둥글다를 뜻하며, 둥글다라는 뜻으로 쓰였으나, 후에 수효나 인원이라는 뜻으로 가차(假借)되면서 지금은 둥글다라는 뜻을 대신하고 있습니다.潔(깨.. 2024. 8. 28.
천자문 배우기!! (천자문 104번째 : 첩어적방 시건유방) 첩어적방(妾御績紡) 시건유방(侍巾帷房)은 천자문의 104번째 구절입니다.    첩어적방(妾御績紡)은 첩이나 아내가 길쌈을 한다는 의미입니다. 여기서 첩은 단순히 첩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집안의 여성을 포괄적으로 지칭할 수 있습니다. 이 문구는 여성이 집안에서 길쌈을 하며 가사를 돌보는 역할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妾(첩 첩) : 첩, 여자의 겸칭. 원래는 여자 노예를 뜻했으나 후에 첩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御(거느릴 어) : 다스리다, 통솔하다. 마차를 몰다에서 유래하여 거느리다, 시중들다라는 뜻이 파생되었습니다.績(길쌈할 적) : 실을 뽑다. 길쌈을 통해 실을 뽑아내는 과정을 의미하며, 후에 성과나 공적이라는 뜻도 갖게 되었습니다.紡(길쌈 방) : 실을 .. 2024. 8. 26.
천자문 배우기!! (천자문 103번째 : 친척고구 노소이량) 친척고구(親戚故舊) 노소이량(老少異糧)은 천자문의 103번째 구절입니다.    친척고구(親戚故舊)는 친척과 오랜 친구를 의미합니다. 이 표현은 친척과 오랜 친구를 대할 때는 나이와 상황에 따라 다르게 대해야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노인과 젊은이를 대할 때는 각각의 필요에 맞게 대접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예기(禮記)에서 유래한 것으로, 친척이나 친구들을 대접할 때는 늙고 젊음에 따라 음식을 달리해야 한다는 가르침을 담고 있습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親 (친할 친) : 가까운 관계를 나타내며, 친밀하다, 사이가 좋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戚 (친척 척) : 친척이나 겨레를 의미합니다. 본래는 분개하다라는 뜻이었으나, 후에 친척이라는 의미로 바뀌었습니다.故 (옛 .. 2024. 8. 26.
천자문 배우기!! (천자문 102번째 : 포어팽재 기염조강) 포어팽재(飽飫烹宰) 기염조강(饑厭糟糠)은 천자문의 102번째 구절입니다.  포어팽재(飽飫烹宰)는  배부르면 요리한 고기도 먹기 싫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배부를 때는 아무리 좋은 음식이라도 그 맛을 모른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飽 (배부를 포): 배부르다는 뜻을 의미합니다.飫 (물릴 어): 물리다, 실컷 먹다는 뜻을 의미합니다.烹 (삶을 팽): 삶다는 뜻을 의미합니다. 宰 (재상 재): 재상, 관리하다는 뜻을 의미합니다.    기염조강(饑厭糟糠)은 배고프면 술지게미와 쌀겨도 달게 여긴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배고플 때는 아무리 하찮은 음식이라도 맛있게 느껴진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음식의 절대적 맛이 아니라, 사람의 상태에 따라 맛이 달라진.. 2024. 8.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