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공부/부수자 및 천자문 배우기139 천자문 배우기!! (천자문 101번째 : 구선손반 적구충장) 구선손반(適口充腸) 적구충장(適口充腸)은 천자문의 101번째 구절입니다. 구선손반(適口充腸)은 반찬을 갖추고 밥을 먹는다는 뜻으로, 준비된 반찬과 함께 밥을 먹는다는 의미입니다. 잘 차려진 밥상에서 식사를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具(갖출 구) : 갖추다, 준비하다. 예를 들어, 필요한 도구나 재료를 모두 갖추는 것을 의미합니다.膳(반찬 선) : 반찬, 음식을 의미합니다. 주로 밥과 함께 먹는 다양한 반찬을 뜻합니다.飱(먹을 손) : 밥을 먹다, 식사하다. 특히 물에 말아 먹는 밥을 의미하기도 합니다.飯(밥 반) : 밥, 식사. 밥을 먹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적구충장(適口充腸)은 입에 맞으면 창자를 채운다는 뜻으로, 훌륭한 음식이 아니더라도 자신.. 2024. 8. 23. 천자문 배우기!! (천자문 100번째 : 이유유외 속이원장) 이유유외(易輶攸畏) 속이원장(屬耳垣牆)은 천자문의 100번째 구절입니다. 이유유외(易輶攸畏)는 말을 쉽고 가볍게 하는 것을 두려워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이는 말을 함부로 하면 반드시 실수를 저지르게 되며, 이는 군자가 두려워하는 바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말을 쉽게 하고 가볍게 하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는 의미로, 특히 남들이 듣고 있을 수 있다는 점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한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易 (쉬울 이) : 바꾸다, 교환하다, 쉽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輶 (가벼울 유) : 가볍다, 가벼운 수레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攸 (바 유) : 곳, 장소, 위태로운 모양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畏 (두려워할 외) : 두려워하다, 경외하다라는.. 2024. 8. 22. 천자문 배우기!! (천자문 99번째 : 탐독완시 우목낭상) 탐독완시(耽讀翫市) 우목낭상(寓目囊箱)은 천자문의 99번째 구절입니다. 탐독완시(耽讀翫市)는 글 읽기를 즐겨 저잣거리에서 책을 읽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후한의 왕충이 책을 살 돈이 없어 저자에서 책을 읽으며 공부했던 일화를 바탕으로, 글 읽기를 즐겨 저잣거리에서 책을 읽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이 표현은 독서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시끄러운 시장에서도 책을 읽을 정도로 독서에 몰두하라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耽 (즐길 탐) : 즐기다, 빠지다. 무언가에 깊이 빠져서 즐기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讀 (읽을 독) : 읽다. 책이나 글을 읽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翫 (희롱할 완) : 가지고 놀다, 즐기다. 무언가를 가지고 놀거나 즐기는 것을 뜻합니다... 2024. 8. 21. 천자문 배우기!! (천자문 98번째 : 유곤독운 능마강소) 유곤독운(遊鵾獨運) 능마강소(凌摩絳霄)은 천자문의 98번째 구절입니다. 유곤독운(遊鵾獨運)은 곤새가 홀로 자유롭게 날아다니는 모습을 의미합니다. 이는 곤새가 홀로 바다에서 놀다가 붕새가 되어 하늘 높이 날아오르는 것을 비유한 표현입니다. 장자의 철학에서 유래한 것으로, 자연 속에서 자유롭게 살아가는 삶의 아름다움을 강조합니다. 이는 각자의 시기와 운명이 다르며, 때로는 고요히 지내다가도 때로는 큰 도약을 할 수 있는 시기가 온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遊(놀 유): 즐겁게 노는 것, 여행하거나 떠돌아다니는 것을 의미합니다. 鵾(큰 물고기 곤): 장자(莊子)의 소요유(逍遙遊)에 나오는 상상의 큰 물고기 곤(鯤)이 변하여 된 새를 의미합니다. 곤새는 매우 큰 새.. 2024. 8. 20. 천자문 배우기!! (천자문 97번째 : 진근위예 낙엽표요) 진근위예(陳根委翳) 낙엽표요(落葉飄颻)은 천자문의 97번째 구절입니다. 진근위예(陳根委翳)는 묵은 뿌리는 시들어 말라죽다라는 뜻입니다. 이는 늦가을의 풍경을 묘사한 것으로, 묵은 나무뿌리와 마른 나무들이 쓰러진 채 버려져 있고, 나무마다 떨어지는 잎들이 바람에 날리는 모습을 그린 표현입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陳 (베풀 진): 베풀다, 묵다. 진법, 늘어놓다 등의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根 (뿌리 근): 뿌리. 나무를 지탱하는 뿌리를 의미합니다.委 (맡길 위): 맡기다. 맡게 하다라는 뜻을 갖고 있습니다.翳 (가릴 예): 가리다, 숨다라는 뜻을 갖고 있습니다. 낙엽표요(落葉飄颻)는 떨어진 나뭇잎이 바람에 나부낀다는 뜻으로, 가을에 나뭇잎이 떨어져 바람에 흩날리는 모습을 묘사합니.. 2024. 8. 19. 천자문 배우기!! (천자문 96번째 : 비파만취 오동조조) 비파만취(枇杷晩翠) 오동조조(梧桐早凋)은 천자문의 96번째 구절입니다. 비파만취(枇杷晩翠)는 비파나무가 늦가을이나 겨울에도 푸른 잎을 유지하는 모습을 비유하여, 늙어서도 지조를 바꾸지 않음을 의미합니다. 변함없는 신념과 지조를 상징하며, 비파나무가 겨울에도 푸르름을 잃지 않는 모습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枇(비파나무 비): 비파나무를 의미합니다.杷(비파나무 파): 비파나무를 의미합니다.晩(늦을 만): 늦다, 저물다를 의미합니다.翠(푸를 취): 푸르다를 의미합니다. 오동조조(梧桐早凋)는 오동나무 잎이 가을이 되면 가장 먼저 시들고 떨어지는 것을 비유하여, 세월의 흐름을 잘 알게 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또한, 오동나무 잎이 시드는 것을 보고 가을이 왔음을 .. 2024. 8. 18. 천자문 배우기!! (천자문 95번째 : 거하적력 원망추조) 거하적력(渠荷的歷) 원망추조(園莽抽條)은 천자문의 95번째 구절입니다. 거하적력(渠荷的歷)은 개천의 연꽃이 아름답게 피어 향기를 풍긴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작은 개울에 핀 연꽃이 선명하고 아름다움을 나타내며, 그 향기를 느낄 수 있다는 뜻입니다. 자연의 아름다움과 그 속에서 느낄 수 있는 평온함을 상징합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渠 (도랑 거): 도랑이나 개천을 의미합니다. 荷 (멜 하): 연꽃을 의미하며, 짐을 멘다는 뜻도 있습니다. 的 (과녁 적): 녁이나 목표를 의미하며, 밝다는 뜻도 있습니다. 歷 (지날 력): 지나가다, 경과하다를 의미합니다. 원망추조(園莽抽條)는 동산의 풀은 땅속 양분으로 가지가 뻗고 크게 자란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자연의 생명력과 번영을.. 2024. 8. 17. 천자문 배우기!! (천자문 94번째 : 흔주루견 척사환초) 흔주루견(欣奏累遣) 척사환초(慼謝歡招)은 천자문의 94번째 구절입니다. 흔주루견(欣奏累遣)은 기쁜 일은 아뢰어지고 근심은 내친다는 뜻으로 좋은 것을 실천하고 나쁜 것을 떨쳐내는 의미입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欣 (기쁠 흔 ): 기쁘다, 즐거워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奏 (아뢸 주): 아뢰다, 바친다, 연주하다, 간주곡과 같이 음악과 관련된 뜻으로 쓰입니다.累 (묶을 누): 여러, 자주, 묶다라는 뜻을 갖고 있습니다.遣 (보낼 견): 놓아주다, 보내다라는 뜻을 갖고 있습니다. 척사환초(慼謝歡招)는 슬픔은 사라지고 기쁨은 손짓하여 부른다는 뜻으로 만족할 줄 아는 지혜를 배우고, 잡된 생각을 버리면 이런 달관한 경지에 도달하게 됩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2024. 8. 16. 천자문 배우기!! (천자문 93번째 : 구고심론 산려소요) 구고심론(求古尋論) 산려소요(散慮逍遙)은 천자문의 93번째 구절입니다. 구고심론(求古尋論)은 옛것을 구하여 찾아 의논함입니다. 이는 옛사람이 남긴 말과 책에서 도를 구하여 깊이 강론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求 (구할 구): 구하다, 탐하다, 청하다를 의미합니다.古 (옛 고): 옛날, 예전, 오래되다를 의미합니다. 尋 (찾을 심): 찾다, 캐묻다, 탐구하다를 의미합니다. 論 (논할 론): 논하다, 토론하다를 의미합니다. 산려소요(散慮逍遙)는 쓸데없는 생각을 흩어버리고 한가롭게 거닐며 걷는다는 뜻입니다. 이 표현은 중국 철학자 장자(莊子)가 처음 언급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잡념을 버리고 천천히 걷는 '소요’를 통해 정신의 해방과 영혼의 자유를 .. 2024. 8. 15. 천자문 배우기!! (천자문 92번째 : 색거한처 침묵적요) 색거한처(索居閑處) 침묵적요(沈默寂寥)은 천자문의 92번째 구절입니다. 색거한처(索居閑處)는 퇴직하여 한가한 곳에서 세상을 보냄을 의미합니다. 즉, 세상의 번잡함을 피하고 조용하고 한적한 곳에서 홀로 지내며 여유로운 삶을 즐기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표현은 주로 은둔 생활을 하거나 퇴직 후 한가롭게 지내는 상황을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索 ( 찾을 색 ): 무언가를 찾거나 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居 ( 살 거 ): 거주하거나 머무는 것을 뜻합니다. 閑 ( 한가할 한 ): 여유롭고 한가한 상태를 나타냅니다. 處 ( 곳 처 ): 장소나 위치를 의미합니다. 침묵적요(沈默寂寥)는 깊이 잠기고 조용하며 고요하고 쓸쓸하다입니다. 이는 세상과 단절된 상태에서 깊은 고요와.. 2024. 8. 14. 천자문 배우기!! (천자문 91번째 : 양소견기 해조수핍) 양소견기(兩疏見機) 해조수핍(解組誰逼)은 천자문의 91번째 구절입니다. 양소견기(兩疏見機)는 두 소씨(疏氏)는 기미를 알아차리고 인끈을 풀었라는 의미로, 벼슬을 하다가도 그만둘 때가 되었다고 생각되면이라는 뜻입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兩 (두 량): 둘을 의미합니다.疏 (소통할 소): 트이다, 소통하다를 의미합니다.見 (볼 견): 보다를 의미합니다.機 (틀 기): 기회, 기미를 의미합니다. 해조수핍(解組誰逼)은 관의 끈을 풀어 사직하고 돌아가니 누가 핍박하리오라는 뜻입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解 (풀 해): 풀다를 의미합니다.組 (끈 조): 짜다, 조직하다를 의미합니다.誰 (누구 수): 누구를 의미합니다.逼 (핍박할 핍): 핍박하다,.. 2024. 8. 13. 천자문 배우기!! (천자문 90번째 : 태욕근치 임고행즉) 태욕근치(殆辱近恥) 임고행즉(林皐幸卽)은 천자문의 90번째 구절입니다. 태욕근치(殆辱近恥)는 위태로움과 모욕은 수치에 가깝다는 뜻입니다. 이는 총애를 받는다고 해서 욕된 일을 하면 머지않아 위태로움과 치욕이 온다는 경고를 담고 있습니다. 자신의 행동을 항상 조심하고, 교만하지 않도록 경계하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殆 (위태할 태): 위태롭다, 거의, 두려워하다를 의미합니다.辱 (욕될 욕): 욕되다, 모욕하다를 의미합니다.近 (가까울 근): 가깝다, 접근하다를 의미합니다.恥 (부끄러울 치): 부끄러워하다, 수치를 의미합니다. 임고행즉(林皐幸卽)은 숲과 언덕에서 행복을 찾다라는 의미로, 부귀영화를 좇지 않고 자연 속에서 겸손하게 살아가는 것이 진정한 .. 2024. 8. 12. 이전 1 2 3 4 5 6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