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돈족(矯手頓足) 열예차강(悅豫且康)은 천자문의 108번째 구절입니다.
교수돈족(矯手頓足)은 손을 들고 발을 구르며 춤을 춘다는 의미로, 기쁘고 즐거운 상태를 표현합니다. 잔치나 축제에서 사람들이 흥에 겨워 춤추는 모습을 묘사한 것입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矯 (바로잡을 교) : 화살을 바로잡는다는 의미에서 바로잡다라는 뜻을 가집니다.
手 (손 수) : 다섯 손가락을 펴고 있는 손의 모양을 그린 글자입니다.
頓 (조아릴 돈) : 머리를 숙여 존경을 표하거나 애원하는 모습을 나타냅니다.
足 (발 족) : 발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발이나 만족하다라는 뜻을 가집니다.
열예차강(悅豫且康)은 마음이 편안하고 즐겁게 살며 단란한 가정을 이루는 것을 뜻합니다. 이상(以上)과 같이 마음 편히 즐기고 살면 단란한 가정(家庭)이라는 뜻입니다. 즉, 가정 내에서 행복하고 평안하게 지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悅 (기쁠 열) : 마음이 기쁜 상태를 나타냅니다.
豫 (미리 예) : 코끼리가 미리 예측하고 행동한다는 의미에서 '미리’라는 뜻을 가집니다.
且 (또한 차) : 비석을 그린 글자로, 또한이나 장차라는 뜻을 가집니다.
康 (편안할 강) : 곡식의 낱알을 털어내는 모습을 표현하여 '편안하다’라는 뜻을 가집니다.
교수돈족 열예차강(矯手頓足 悅豫且康)은 손을 굽혔다 펴고 발을 구르며 춤추니, 기쁘고 또 강녕하다라는 뜻입니다. 이는 잔치 마당에서 사람들이 흥에 겨워 춤추며 즐거워하는 모습을 그린 표현입니다. 이 구절은 손을 들고 발을 구르며 흥겹게 춤추는 장면을 그려 보인 것으로, 기쁘고 즐거우며 마음도 편안하다는 뜻입니다.
'한자 공부 > 부수자 및 천자문 배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자문 배우기!! (천자문 110번째 : 계상재배 송구공황) (2) | 2024.09.01 |
---|---|
천자문 배우기!! (천자문 109번째 : 적후사속 제사증상) (0) | 2024.08.31 |
천자문 배우기!! (천자문 106번째 : 주면석매 남순상상) (0) | 2024.08.29 |
천자문 배우기!! (천자문 107번째 : 현가주연 접배거상) (1) | 2024.08.28 |
천자문 배우기!! (천자문 105번째 : 환선원결 은촉휘황) (0) | 2024.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