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조문도(坐朝問道) 수공평장(垂拱平章)은 천자문의 14번째 구절입니다.
좌조문도(坐朝問道)는 임금이 정사의 본바탕 도리를 묻고 듣기만 하면 스스로 원칙을 세우지 않아도 잘 다스려진다는 뜻으로, 황로에서 말하는 꿈 같은 임금상을 가리키고 있습니다.
조정에 앉아 있는 사람은 위에서 통치를 하는 임금이거나 왕일 것입니다. 그런데 이때의 '道’는 정확하게 무엇을 뜻하는지 짐작하기 쉽지 않습니다. 일단 坐朝問道는 왕이 가만히 조정에 앉아서 '道’에게 묻기만 하면 정사가 저절로 성사된다는 뜻으로 새기자. 왜냐하면 뒤에 오는 垂拱平章이 잘 다스려지는 세상의 모습을 설명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坐朝 (좌조): 조정에 앉는다.
問道 (문도): 나라 다스리는 법을 묻다.
坐 (앉을 좌): 이 한자는 앉다를 의미합니다. 여기서는 왕이 조정에 앉아 있음을 나타냅니다.
朝 (아침 조, 고을 이름 주): 이 한자는 아침이나 고을 이름 주를 의미합니다. 조정에 앉아 있는 왕을 통해 나라를 다스리는 법을 묻는 것을 상징합니다.
問 (물을 문): 이 한자는 물을 문을 의미합니다. 진리를 찾기 위해 물어보는 것을 나타냅니다.
道 (길 도): 이 한자는 길이나 도를 의미합니다. 나라를 다스리는 법을 말합니다.
수공평장(垂拱平章)은 또 다른 구절로, 밝고 평화스럽게 나라를 다스리는 길을 겸손하게 생각함을 나타냅니다.
또한 고전적인 의미로는 밝고 평화스럽게 다스리는 길을 겸손하게 생각함을 의미하는 성어입니다. 이 성어는 주로 선량한 통치자나 리더에게 사용되며, 그들의 지배 방식이 평화롭고 밝으며 겸손함을 부각시키는 표현으로 쓰입니다.
垂拱 (수공): 옷을 늘어뜨리고 팔짱을 끼다.
平章 (평장): 평탄하고 밝게 다스린다.
垂 (드리울 수): 드리울, 늘어뜨리다를 의미합니다.
拱 (바칠 공, 팔짱낄 공, 보옥 공): 팔짱 낄, 보옥을 의미합니다.
平 (평할 평, 평평할 평, 다스릴 편): 평할, 다스릴을 의미합니다.
章 (글 장): 글장을 의미합니다.
조정에 앉아 道 (도)를 물으니 옷자락을 늘어뜨리고 팔짱만 끼고 있어도 밝게 다스려진다. 제왕은 조정에 앉아서 치국의 대도를 신하에게 물으며, 옷자락을 늘어뜨리고 팔짱을 끼고 있어도 밝고 바른 정치가 된다는 말로써 수공평장은 지혜롭고 겸손한 지도자의 미덕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한자 공부 > 부수자 및 천자문 배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자문 배우기!! (하이일체 솔빈귀왕) (0) | 2024.05.22 |
---|---|
천자문 배우기!! (애육려수 신복융강) (0) | 2024.05.21 |
천자문 배우기!! (조민벌죄 주발은탕) (1) | 2024.05.19 |
천자문 배우기!! (추위양국 유우도당) (1) | 2024.05.18 |
천자문 배우기!! (시제문자 내복의상) (0) | 2024.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