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자 공부/사자소학 배우기159

사자소학 배우기!! (사자소학 123번째 : 붕우유신 이위오륜) 朋友有信(붕우유신)이니 是謂五倫(이위오륜)이니라는 사자소학의 123번째 구절입니다.  붕우유신 이위오륜(朋友有信 是謂五倫)은 친구 사이에는 믿음이 있으니, 이것이 바로 다섯 가지 도리(五倫) 중 하나이다라는 뜻입니다. 여기서 다섯 가지 도리(五倫)은 유교의 기본적인 인간 관계의 도리를 의미하며, 이는 임금과 신하, 부모와 자녀, 부부, 형제, 친구 사이의 관계를 말합니다. 즉, 친구 사이에서는 신뢰와 믿음이 중요한 덕목이라는 것을 강조하는 구절입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朋友有信(붕우유신)朋(벗 붕) : 벗, 친구를 뜻합니다. 友(벗 우) : 친구, 벗을 뜻합니다. 有(있을 유) : 존재하거나 가지고 있다는 뜻입니다. 信(믿을 신) : 신뢰, 믿음, 진실, 성실 등을 의미합니다.  .. 2025. 1. 19.
사자소학 배우기!! (사자소학 122번째 : 부부유별 장유유서) 夫婦有別(부부유별)하며 長幼有序(장유유서)하며는 사자소학의 122번째 구절입니다.  부부유별 장유유서(夫婦有別 長幼有序)는 남편과 아내는 구별이 있고 어른과 어린이 사이에는 질서가 있다는 뜻입니다. 즉 유교 사회에서 강조된 가족 관계와 사회 질서에 대한 가르침을 담고 있습니다. 즉, 부부는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하며, 사회 구성원은 나이에 따라 각자의 위치를 지키고 서로 존중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물론 시대가 변하면서 남녀의 역할과 가족 관계가 변화했지만, 상호 존중과 배려의 중요성은 여전히 강조됩니다. 또한, 사회 구성원으로서 서로 간의 차이를 인정하고 존중하는 태도는 건강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기본적인 자세입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夫婦有別(부부유별)夫(지아비 부) : .. 2025. 1. 17.
사자소학 배우기!! (사자소학 121번째 : 부자유친 군신유의) 父子有親(부자유친)하며 君臣有義(군신유의)하며는 사자소학의 121번째 구절입니다.   부자유친 군신유의(父子有親 君臣有義)는 부모와 자식 사이의 자연스럽고 친밀한 유대감있고 군주와 신하 사이의 정의롭고 충성스러운 관계가 있다는 의미합니다. 가족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효(孝) 사상과 연결됩니다. 부모에게 효도하는 것은 모든 도덕의 근본이라는 유교적 가치관을 반영합니다. 사회의 질서와 안정을 위한 충(忠) 사상을 강조합니다. 신하가 임금에게 충성을 다하는 것은 사회를 유지하는 기본적인 도리라는 유교적 가치관을 반영합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父子有親(부자유친) 父(아버지 부) : 아버지, 가정의 가장을 뜻합니다. 子(아들 자) : 아들, 자식을 의미합니다. 有(있을 유) : 가지다, ~.. 2025. 1. 17.
사자소학 배우기!! (사자소학 120번째 : 인의예지 인성지강) 仁義禮智(인의예지)는 人性之綱(인성지강)이니라는 사자소학의 120번째 구절입니다. 인의예지 인성지강(仁義禮智 人性之綱)은 인의예지는 인성의 근본이다라는 뜻입니다. 이는 사람이 갖추어야 할 네 가지 중요한 덕목, 즉 사랑, 도덕, 예절, 지혜가 인간 본성의 기본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어짐, 옳음, 예절, 지혜는 사람의 성품을 지탱하는 틀이다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사람에게는 누구에게나 타고난 어짐, 옳음, 예절, 지혜라는 기본적인 성품이 있습니다. 이러한 성품들은 마치 그물의 굵은 실처럼 사람의 인격을 지탱하고 형성하는 근본적인 도리라는 것입니다. 즉, 인간이 갖춰야 할 가장 중요한 덕목이며, 이러한 덕목을 바탕으로 사람은 올바른 삶을 살아갈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각 한.. 2025. 1. 15.
사자소학 배우기!! (사자소학 119번째 : 원형이정 천도지상) 元亨利貞(원형이정)은 天道之常(천도지상)이요는 사자소학의 119번째 구절입니다.  원형이정 천도지상(元亨利貞 天道之常)은 기원, 순조롭게 진행됨, 이익, 그리고 청렴함은 자연의 불변의 법칙이다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 문구는 시작, 번영, 이익, 그리고 굳건함이라는 네 가지 원칙이 우주의 자연스러운 길과 불변의 진리임을 강조합니다. 이들 덕목은 모든 존재를 지배하는 조화롭고 지속적인 원칙들을 상징합니다. 주역에서 나오는 말로, 우주 만물의 생성, 발전, 성숙, 완성의 과정을 나타냅니다. 즉, 모든 사물은 시작(元)하여 번성(亨)하고 결실(利)을 맺으며 마침내 완성(貞)에 이르는 자연의 순리대로 변화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元亨利貞(원형이정)元(으뜸 원) : 시.. 2025. 1. 14.
사자소학 배우기!! (사자소학 118번째 : 염인책자 기행무진) 厭人責者(염인책자)는 其行無進(기행무진)이니라는 사자소학의 118번째 구절입니다.  염인책자 기행무진(厭人責者 其行無進)은 남의 꾸짖음을 싫어하는 사람은 그 행동이 나아가지 못한다는 뜻입니다. 다른 사람이 자신의 잘못을 지적하거나 꾸짖는 것을 싫어하는 사람은 결코 발전하거나 나아갈 수 없다는 의미입니다. 즉, 남의 비판을 받아들이지 않고 자기 자신을 개선하려는 노력을 하지 않으면, 결국에는 정체되거나 퇴보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강조하는 말입니다. 이는 겸허하게 다른 사람의 의견을 경청하고 자신의 부족한 점을 개선하려는 자세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남의 비판을 받아들이는 것은 쉽지 않지만, 그것을 통해 자신을 성장시키고 더 나은 사람으로 발전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려줍니다. 각 .. 2025. 1. 13.
사자소학 배우기!! (사자소학 117번째 : 열인찬자 백사개위) 悅人讚者(열인찬자)는 百事皆僞(백사개위)며는 사자소학의 117번째 구절입니다.  열인찬자 백사개위(悅人讚者 百事皆僞)는 다른 사람의 칭찬을 기뻐하는 사람이 결국 그 모든 칭찬이 거짓되거나 진실하지 않음을 뜻합니다. 이는 외부의 인정을 추구하는 것의 공허함이나 기만성을 암시하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즉, 남의 평가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사람은 진정한 행복이나 만족을 얻기 어렵다는 것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이는 우리에게 진정한 행복은 타인의 인정이 아닌, 스스로에게 만족하고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데서 온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남의 시선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의 가치를 인정하고 살아갈 때 비로소 진정한 자유와 행복을 누릴 수 있을 것입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悅人讚者(열인찬자)悅(기.. 2025. 1. 12.
사자소학 배우기!! (사자소학 116번째 : 견선종지 지과필개) 見善從之(견선종지)하고 知過必改(지과필개)하라는 사자소학의 116번째 구절입니다.   견선종지 지과필개(見善從之 知過必改)는 좋은 행동을 보면 그것을 따르고, 잘못을 알면 반드시 고쳐라라는 의미입니다. 끊임없이 옳고 바른 것을 찾아 배우고 실천하려는 자세와 자신의 부족함을 인정하고 개선하려는 노력을 강조합니다. 즉, 끊임없이 배우고 노력하면서도 자신의 부족함을 겸허하게 받아들이고 개선해 나가는 자세가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見善從之(견선종지) 見(볼 견) : 보다라는 의미를 가진 한자입니다.善(착할 선) : 좋은 또는 선한이라는 의미입니다.從(따를 종) : 따르다라는 의미입니다.之(갈 지) : 그것 또는 이것을 의미합니다.  知過必改(지과필개)知(알 지) : .. 2025. 1. 11.
사자소학 배우기!! (사자소학 115번째 : 이언불신 비직지우) 言而不信(이언불신)이면 非直之友(비직지우)니라는 사자소학의 115번째 구절입니다.   이언불신 비직지우(言而不信 非直之友)는 말이 신뢰할 수 없다면 진정한 친구라고 할 수 없다라는 의미입니다. 사람이 말하는 것을 듣고 그 말을 신뢰할 수 없으면, 그 사람은 진정한 친구가 될 수 없다는 뜻입니다.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에서 말은 서로를 이해하고 신뢰하는 데 가장 중요한 도구입니다.진정한 친구는 서로에게 솔직하고 진실된 모습을 보여주며, 상대방의 말을 믿고 신뢰해야 합니다. 이는 말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신뢰를 바탕으로 한 관계 형성의 필요성을 역설합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言而不信(이언불신)  言(말씀 언) : 말하다, 말, 언어 등의 의미를 가집니다.而(말 이을 이) : 연결하는.. 2025. 1. 10.
사자소학 배우기!! (사자소학 114번째 : 면책아과 강직지인) 面責我過(면책아과)면 剛直之人(강직지인)이니라는 사자소학의 114번째 구절입니다.   면책아과 강직지인(面責我過 剛直之人)은 나의 잘못을 직접 면전에서 꾸짖는 사람은 강직한 사람이다 라는 뜻입니다. 즉, 자신의 잘못을 솔직하게 지적해주는 사람은 정직하고 올바른 사람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는 비판을 통해 더 나은 자신으로 성장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며, 솔직한 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말입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面責我過(면책아과) 面(낯 면) : 얼굴, 앞면, 직접 대면하다를 의미합니다. 責(꾸짖을 책) : 비난하다, 책망하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我(나 아) : 나, 자기 자신, 옳다고 여기다, 따르다를 의미합니다. 過(지날 과) : 잘못 또는 실수를 의미합니다... 2025. 1. 9.
사자소학 배우기!! (사자소학 113번째 : 면찬아선 첨유지인) 面讚我善(면찬아선)이면 諂諛之人(첨유지인)이요는 사자소학의 113번째 구절입니다.   면찬아선 첨유지인(面讚我善 諂諛之人)은 자신의 면전에서 지나치게 칭찬을 하면, 그는 아첨하는 사람이다라는 뜻입니다.  상대방의 얼굴을 보고 직접 칭찬하고, 그의 의견에 맞춰주며, 아첨하는 말을 이어가는 사람은 진심으로 상대방을 존중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자신의 이익을 위해 굽실거리는 사람이라는 의미입니다. 즉, 겉으로는 친절하고 칭찬을 아끼지 않지만, 속으로는 자신의 이익을 위해 상대방을 이용하려는 가식적인 태도를 비판하는 말입니다. 이는 사람과의 관계를 맺을 때 겉모습이나 칭찬에 현혹되지 말고, 상대방의 진심을 파악하려는 자세가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面讚我善(면찬아선)面.. 2025. 1. 8.
사자소학 배우기!! (사자소학 112번째 : 인무책우 역함불의) 人無責友(인무책우)면 易陷不義(역함불의)니라는 사자소학의 112번째 구절입니다.   인무책우 역함불의(人無責友 易陷不義)는 사람에게 책망할 만한 친구가 없으면, 쉽게 불의에 빠진다는 뜻입니다. 곁에 진정한 친구가 없어 옳고 그름을 지적해 줄 사람이 없다면, 그 사람은 쉽게 잘못된 길로 빠지거나 부도덕한 행위를 저지르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즉, 신뢰할 수 있는 친구가 없다면, 도덕적 원칙을 지키기 어렵다는 의미죠. 신뢰할 만한 사람들과 함께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강조하는 말입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인무책우(人無責友)  人(사람 인) : 사람을 뜻합니다.無(없을 무) : 없다는 뜻입니다.責(꾸직을 책) : 꾸짖거나 책망한다는 의미입니다. 또한, 책임, 의무라는 의미도 있습니다... 2025. 1.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