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공부/사자소학 배우기103 사자소학 배우기!! (사자소학 51번째 : 사친여차 가위효의) 事親如此(사친여차)면 可謂孝矣(가위효의)니라는 사자소학의 51번째 구절입니다. 사친여차 가위효의(事親如此 可謂孝矣)는 공자의 말씀으로, 부모를 섬기는 일이 이와 같으면 참으로 효도라고 할 수 있겠다 라는 의미입니다. 좀 더 자세히 풀이하면, 부모를 섬기는 일이 이와 같이 잘 행해진다면 비로소 효도라고 부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즉, 단순히 부모에게 잘하는 것뿐만 아니라, 부모를 존경하고 그들의 뜻을 받들며, 끊임없이 정성을 다하는 것이 진정한 효도라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사친여차(事親如此) 事(섬길 사) : 섬기다, 일하다를 의미합니다.親(부모 친) : 부모님을 의미합니다.如(같을 여) : 이와 같을 여 – ~와 같이, ~처럼라는 뜻입니다.此(이 .. 2024. 11. 24. 사자소학 배우기!! (사자소학 46번째 : 부빙득리 왕상지효) 剖冰得鯉(부빙득리)는 王祥之孝(왕상지효)니라는 사자소학의 46번째 구절입니다. 부빙득리 왕상지효(剖冰得鯉 王祥之孝)는 얼음을 쪼개 잉어를 얻은 것은 왕상의 효도이다라는 뜻입니다. 이는 왕상이라는 인물이 얼음 속에서 잉어를 구하여 부모님께 바친 효도 있는 행동을 묘사한 것입니다. 왕상은 중국 삼국시대의 인물로, 계모의 부탁으로 추운 겨울 얼음을 깨고 잉어를 잡아왔다는 효성이 매우 지극한 인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문장은 왕상의 효성을 강조하며, 어려운 상황에서도 부모를 위해 헌신하는 자식의 모습을 이상적인 인간상으로 제시합니다. 즉, 효도는 모든 덕목의 근본이며, 자식이 부모에게 베푸는 가장 기본적인 도리임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剖冰得鯉(부빙득리)剖(쪼갤 부).. 2024. 11. 22. 사자소학 배우기!! (사자소학 45번째 : 설리구순 맹종지효) 雪裏求筍(설리구순)은 孟宗之孝(맹종지효)요는 사자소학의 45번째 구절입니다. 설리구순 맹종지효(雪裏求筍 孟宗之孝)는 눈 속에서 죽순을 찾는 맹종의 효도라는 뜻입니다. 맹종은 중국 한나라 시대의 효자로, 겨울철 병든 어머니가 죽순을 먹고 싶어 하자 눈 속에서 죽순을 구해왔다는 이야기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이 문장은 맹종의 효성을 극단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부모를 위해 어떤 어려움도 감수하려는 자식의 지극한 효심을 강조합니다. 맹종이 눈 속에서 죽순을 찾아다닌 행위는 불가능에 가까운 일이지만, 효심이 지극하면 불가능한 일도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이야기입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雪裏求筍(설리구순) 雪(눈 설) : 눈을 의미합니다. 하늘에서 내려 땅에 쌓이는 하얀 얼음 .. 2024. 11. 21. 사자소학 배우기!! (사자소학 41번째 : 물여인투 부모불안) 勿與人鬪(물여인투)하라 父母不安(부모불안)이시니라는 사자소학의 41번째 구절입니다. 물여인투 부모불안(勿與人鬪 父母不安)은 사람과 싸우지 말라, 부모님께서 불안해 하신다는 뜻입니다. 다른 사람과 싸우면 부모님께서 걱정하시고 마음이 편치 않으시므로, 싸움을 하지 말아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즉, 자식으로서 부모님의 마음을 헤아리고, 가정의 평화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勿與人鬪(물여인투) 勿(말 물) : 하지 말라는 뜻입니다.與(더불 여) : 더불어, 함께, 주다의 의미를 가집니다.人(사람 인) : 사람을 의미합니다.鬪(싸울 투) : 싸우다를 의미합니다. 父母不安(부모불안) 父(아버지 부) : 아버지를 의미합니다.母(어머니 모) :.. 2024. 11. 20. 사자소학 배우기!! (사자소학 40번째 : 물영심연 부모념지) 勿泳深淵(물영심연)하라 父母念之(부모념지)시니라는 사자소학의 40번째 구절입니다. 물영심연 부모념지(勿泳深淵 父母念之)는 깊은 물에서 헤엄치지 말라, 부모님이 그것을 염려하시느니라는 뜻입니다. 즉, 이 문장은 자식에게 위험한 행동을 하지 말라고 경고하며, 부모의 마음을 헤아리고 안전하게 행동하라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깊은 물은 단순히 물뿐만 아니라, 위험한 상황이나 어려운 문제를 비유적으로 나타내기도 합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勿泳深淵(물영심연) 勿(말 물) : 하지 말라는 뜻입니다.泳(헤엄칠 영) : 헤엄치다, 수영하다를 의미합니다.深(깊을 심) : 깊다를 의미합니다.淵(못 연) : 깊은 물, 연못을 의미합니다. 父母念之(부모념지) 父(아버지 부) : 아버지를 의.. 2024. 11. 19. 사자소학 배우기!! (사자소학 39번째 : 물등고수 부모우지) 勿登高樹(물등고수)하라 父母憂之(부모우지)시니라는 사자소학의 39번째 구절입니다. 물등고수 부모우지(勿登高樹 父母憂之)는 높은 나무에 오르지 말라, 부모님이 그것을 걱정하신다는 뜻입니다. 이 표현은 위험한 행동을 삼가고 부모님의 걱정을 덜어드리라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현대 사회에서도 이러한 가르침은 여전히 유효합니다. 자녀들은 부모님의 걱정을 덜어드리고, 안전하고 건강하게 생활해야 합니다. 또한, 부모님의 말씀에 귀 기울이고, 효도하는 마음을 가져야 합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勿登高樹(물등고수) 勿(말 물) : 무릇, 하지 말라는 뜻입니다. 登(오를 등) : 오르다, 올라가다를 의미합니다. 高(높을 고) : 높이, 높다를 의미합니다. 樹(나무 수) : 나무를 의미합니다. .. 2024. 11. 18. 사자소학 배우기!! (사자소학 32번째 : 음식수염 여지필식) 飮食雖厭(음식수염)이나 與之必食(여지필식)하라는 사자소학의 32번째 구절입니다. 음식수염 여지필식(飮食雖厭 與之必食)은 음식이 비록 싫더라도 주시면 반드시 먹어야 한다라는 뜻입니다. 즉, 먹고 싶지 않은 음식이라도 어른이나 어른이 주는 음식이라면 거절하지 않고 먹어야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는 예절과 효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말로, 특히 어린아이들에게 자주 사용되었던 표현입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음식수염(飮食雖厭) 飮(마실 음) : 마시다를 의미합니다.食(먹을 식) : 먹다를 의미합니다.雖(비록 수) : "비록 ~일지라도"라는 뜻입니다.厭(싫어할 염) : 싫어하다, 싫다라는 뜻입니다. 여지필식(與之必食) 與(줄 여) : 주다, 함께 하다라는 뜻입니다.之(갈 지) :.. 2024. 11. 17. 사자소학 배우기!! (사자소학 31번째 : 의복수악 여지필저) 衣服雖惡(의복수악)이나 與之必著(여지필저)하라는 사자소학의 31번째 구절입니다. 의복수악 여지필저(衣服雖惡 與之必著)는 옷이 비록 나쁠지라도, 그것을 반드시 입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이 표현은 비록 외면적인 조건이나 상황이 좋지 않더라도, 주어진 상황에 충실하고 받아들여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핵심은,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어떤 상황에 맞춰 행동해야 할 때가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그것을 받아들이는 자세가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衣服雖惡(의복수악) 衣(옷 의) : 옷이나 의복을 의미합니다.服(옷 복) : 옷을 의미합니다.雖(비록 수) : "비록 ~일지라도"라는 뜻입니다.惡(나쁠 악) : 나쁘다, 좋지 않다는 뜻입니다. 與之必著(여지필저).. 2024. 11. 16. 사자소학 배우기!! (사자소학 30번째 : 약득미미 귀헌부모) 若得美味(약득미미)어든 歸獻父母(귀헌부모)하라는 사자소학의 30번째 구절입니다. 약득미미 귀헌부모(若得美味 歸獻父母)는 만약 맛있는 음식을 얻으면 부모님께 드려라는 뜻입니다. 이 문장은 효(孝)와 관련된 고사성어로, 부모님께 효도하고 감사하는 마음을 표현한 것입니다. 맛있는 음식이나 좋은 것을 얻었을 때, 그것을 부모님과 나누며 기쁨을 드리라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현대 사회에서도 이 문장은 단순히 음식뿐만 아니라 좋은 일이나 행복을 부모님과 나누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즉, 자신이 얻은 좋은 것들을 가족과 함께 나누고 함께 기뻐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若得美味(약득미미) 若(같을 약) : 만약, 비록, 같이, 듯하다를 의미합니다.得.. 2024. 11. 15. 사자소학 배우기!! (사자소학 29번째 : 기유음식 불여물식) 器有飮食(기유음식)이라도 不與勿食(불여물식)하라는 사자소학의 29번째 구절입니다. 기유음식 불여물식(器有飮食 不與勿食)은 그릇에 음식이 있다고 해서 다른 사람이 주지 않으면 함부로 먹지 말라는 뜻입니다. 이 문장은 단순히 음식에 대한 예절을 가르치는 것을 넘어, 남에게 받은 것에 대한 감사와 존중의 마음을 강조합니다. 즉, 아무리 내 앞에 좋은 것이 있다 할지라도, 그것이 내 것이 아닌 이상 함부로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가르치는 것입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器有飮食(기유음식) 器(그릇 기) : 물건을 담는 그릇이나 도구를 의미합니다. 넓게는 재능이나 능력을 비유하기도 합니다. 有(있을 유) : 어떤 것이 존재하거나 가지고 있다는 뜻입니다. 飮(마실 음) : 마시는 행위나 마실.. 2024. 11. 14. 사자소학 배우기!! (사자소학 26번째 : 시좌친전 물거물와) 侍坐親前(시좌친전)이어든 勿踞勿臥(물거물와)하라는 사자소학의 26번째 구절입니다. 시좌친전 물거물와(侍坐親前 勿踞勿臥)는 부모님 앞에 앉아 있을 때에는 다리를 꼬고 앉거나 누워 있지 말라는 뜻입니다.즉, 부모님 앞에서는 몸가짐을 바르게 하고 공손한 자세를 유지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는 말입니다. 물론 현대 사회에서는 예전만큼 엄격한 규율이 적용되지는 않지만, 이 문장이 가르치는 효도와 예절의 가치는 여전히 중요합니다. 가족 간의 화목을 위해서는 서로 존중하고 배려하는 자세가 필요하며, 사회생활에서도 예절을 갖추는 것은 성공적인 인간관계를 위한 기본적인 자세입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侍坐親前(시좌친전) 侍 모실 시) : 모시다, 섬기다, 누군가를 섬기거나 따라다니며 돕는다는.. 2024. 11. 13. 사자소학 배우기!! (사자소학 25번째 : 시좌부모 물노책인) 侍坐父母(시좌부모)어든 勿怒責人(물노책인)하라는 사자소학의 25번째 구절입니다. 시좌부모 물노책인(侍坐父母 勿怒責人)은 부모님 곁에 앉아 섬기고, 성내어 남을 꾸짖지 마라는 뜻입니다. 이 문장은 효도와 인의(仁義)를 강조하는 유교적인 가르침을 담고 있습니다. 부모님을 공경하고 섬기는 것은 인간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도리이며, 다른 사람에게 관대하고 온화하게 대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즉, 가정과 사회에서 바람직한 인간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효도와 인의를 실천해야 한다는 것을 말하고 있습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侍坐父母(시좌부모)侍 (섬길 시) : '모시다'라는 의미로 쓰였습니다.坐 (앉을 좌) : '앉다'라는 의미를 가집니다.父 (아버지 부) : '아버지'를 뜻합니.. 2024. 11. 12. 이전 1 2 3 4 5 6 7 ···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