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자 공부/사자소학 배우기159

사자소학 배우기!! (사자소학 148번째 : 혼인사상 상부상조) 婚姻死喪(혼인사상)에 相扶相助(상부상조)하라는 사자소학의 148번째 구절입니다.  혼인사상 상부상조(婚姻死喪 相扶相助)은 혼인과 죽음과 같은 인생의 중요한 의례나 어려운 상황에서 서로 돕고 도와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혼인과 죽음과 같은 인생의 중요한 순간들을 함께하며 서로 지지하고 협력하는 공동체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말입니다. 기쁨과 슬픔의 순간 모두에서 연대와 공동체의 가치를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婚姻死喪(혼인사상) 婚(결혼할 혼) : 혼인, 혼례, 결혼을 뜻합니다.姻(혼인 인) : 혼인, 인척, 결혼, 혼인 관계를 뜻합니다.死(죽을 사) : 사망, 사별, 죽음을 뜻합니다.喪(초상 상) : 상실, 장례, 애도를 뜻합니다.  相扶相助(상부상조)相(서로 상) .. 2025. 2. 12.
사자소학 배우기!! (사자소학 147번째 : 빈공곤액 친척상구) 貧窮困厄(빈공곤액)에 親戚相救(친척상구)하며는 사자소학의 147번째 구절입니다.    빈공곤액 친척상구(貧窮困厄 親戚相救)는 빈궁하고 곤궁하고 어려움과 재앙에 처했을 때, 가까운 친척들이 서로 돕고 구해준다는 뜻입니다. 즉, 어려움에 처했을 때 친척들의 도움과 지지가 큰 힘이 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주로 어려운 상황에 처했을 때 친척들의 도움을 강조하는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됩니다. 하지만, 모든 친척이 항상 도움을 주는 것은 아니므로, 상황에 따라 의미를 달리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貧窮困厄(빈공곤액)貧(가난할 빈) : 가난하다, 재물이 없어 생활이 어려운 상태를 뜻합니다. 窮(궁할 궁) : 곤궁하다, 극도로 어렵다, 물질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여유가 없는.. 2025. 2. 11.
사자소학 배우기!! (사자소학 146번째 : 예속상교 환난상휼 ) 禮俗相交(예속상교)하고 患難相恤(환난상휼)하라는 사자소학의 146번째 구절입니다.   예속상교 환난상휼(禮俗相交 患難相恤)은 예절과 풍속을 서로 존중하고 교류하고 어려움과 재난을 당했을 때 서로 돕고 구휼하라는 뜻입니다. 예절은 사회생활의 기본이며, 풍속은 각 지역이나 문화의 고유한 특성입니다. 서로 다른 예절과 풍속을 존중하고 이해하는 것은 원만한 대인관계와 사회생활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사람은 누구나 어려움과 재난을 겪을 수 있습니다. 이때 서로 돕고 의지하는 것은 인간적인 연대를 강화하고 공동체의 유지를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禮俗相交(예속상교) 禮(예도 예) : 예절, 의례, 법도를 의미합니다.俗(풍속 속) : 풍속, 관습, 세속을 의미합니다.相.. 2025. 2. 10.
사자소학 배우기!! (사자소학 145번째 : 덕업상권 과실상규) 德業相勸(덕업상권)하고 過失相規(과실상규)하며는 사자소학의 145번째 구절입니다.   덕업상권 과실상규(德業相勸 過失相規)은 선한 행위를 서로 권장하고 잘못을 서로 바로잡는다는 뜻입니다. 즉, 좋은 일이나 선행을 서로 격려하고 독려하고 서로의 실수나 잘못을 교정하고 바로잡아 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사람들이 서로 도덕적인 행위를 권장하고, 서로의 잘못이나 실수를 교정하여 더 나은 사회를 만들어가는 것을 강조하는 말입니다. 德業相勸(덕업상권) 過失相規(과실상규)는 조선시대 향약의 중요한 덕목 중 하나였습니다. 향약은 마을 공동체의 자치 규약으로, 구성원들이 서로 협력하고 도우며 살아가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德業相勸(덕업상권)德(덕 덕) : 덕, 어질다, .. 2025. 2. 9.
사자소학 배우기!! (사자소학 144번째 : 음식신절 언어공손) 飮食愼節(음식신절)하고 言語恭遜(언어공손)하라는 사자소학의 144번째 구절입니다.   음식신절 언어공손(飮食愼節 言語恭遜)은 먹고 마시는 데 있어서 신중하고 절제하고 언어와 말하는 데 있어서 공손하고 겸손하라는 뜻입니다. 먹고 마시는 데 있어서 신중하고 절제하며, 말과 언어를 사용할 때 공손하고 겸손하라는 충고를 담고 있습니다. 즉, 자기 관리를 잘하고, 예의를 지키며, 다른 사람을 존중하는 태도를 가지라는 의미입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飮食愼節(음식신절) 飮(마실 음) : 마시다, 먹다, 음료나 액체를 마시는 행위를 뜻합니다.食(먹을 식) : 먹다, 식량, 음식을 먹는 행위를 뜻합니다.愼(삼길 신) : 신중하다, 조심하고 주의하는 행위를 뜻합니다.節(절제할 절) : 절제하다, .. 2025. 2. 8.
사자소학 배우기!! (사자소학 143번째 : 상덕고지 연약중응) 常德固持(상덕고지)하고 然諾重應(연약중응)하라는 사자소학의 143번째 구절입니다.    상덕고지 연약중응(常德固持 然諾重應)은 떳떳한 덕을 굳게 지키고 승낙을 신중하게 응하라는 뜻입니다. 이는 변함없는 도덕적 가치와 품성을 굳건히 지니고 실천해야 하고 약속이나 승낙을 가볍게 하지 않고 신중하게 생각하고 책임감을 가지고 응해야 함을 강조하는 말입니다. 도덕적 가치를 항상 견고히 유지하되, 부드럽고 유연하게 대응하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常德固持(상덕고지)常(항상 상) : 항상, 지속적으로, 변함없이 늘 그러한 상태, 일반적인 상태를 나타냅니다. 德(덕 덕) : 덕, 도덕, 인격, 품성, 덕행 등을 나타냅니다. 固(굳을 고) : 견고히 하다, 확고히 하다, .. 2025. 2. 7.
사자소학 배우기!! (사자소학 142번째 : 작사모시 출언고행) 作事謀始(작사모시)하고 出言顧行(출언고행)하라는 사자소학의 142번째 구절입니다.    작사모시 출언고행(作事謀始 出言顧行)은 어떤 일을 시작하기 전에 철저하게 계획을 세우고, 말을 하기 전에 자신의 행동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신중한 계획과 책임감 있는 언행은 개인의 발전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며 믿을 수 있는 사람이라는 인상을 심어주어 원만한 인간관계를 형성하는 데 도움을 주고 사회생활에서도 성공을 위한 기본적인 자세입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作事謀始(작사모시) 作(지을 작) : 만들다, 짓다, 시작하다, 무언가를 만들거나 창조하는 행위를 나타냅니다. 事(일 사) : 일, 사건, 업무, 사물을 뜻합니다. 謀(꾀 모) : 꾀하다, 계획하다, 의논하다, 모의하는 .. 2025. 2. 6.
사자소학 배우기!! (사자소학 141번째 : 거처필공 보리안상) 居處必恭(거처필공)하고 步履安詳(보리안상)하라는 사자소학의 141번째 구절입니다.   거처필공 보리안상(居處必恭 步履安詳)은 거처하는 곳에서 반드시 공손히 행동하고 걸음을 걸을 때 편안하고 자세하게 행동하라는 뜻입니다. 머무는 곳에서는 반드시 공손히 행동하고, 걸음을 걸을 때는 편안하고 자세히 행동하라는 의미입니다. 이는 사람이 어디서나 공손하고, 편안하며 세밀한 태도를 유지해야 한다는 가르침을 담고 있습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居處必恭(거처필공) 居(살 거) : 거주하다, 머물다. 사람이 머무는 곳을 의미합니다.處(곳 처) : 장소, 위치. 사람이 머무는 장소를 의미합니다.必(반드시 필) : 반드시, 꼭. 반드시 해야 한다는 뜻입니다.恭(공손할 공) : 공손하다, 존중하다. .. 2025. 2. 5.
사자소학 배우기!! (사자소학 140번째 : 용모단정 의관정제) 容貌端正(용모단정)하고 衣冠整齊(의관정제)하라는 사자소학의 140번째 구절입니다.   용모단정 의관정제(容貌端正 衣冠整齊)는 얼굴과 외모를 바르고 정직하게 하고, 옷과 모자를 질서 있게 단정하게 정돈하라는 뜻입니다. 얼굴 생김새와 겉모습이 단정하고 바르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단순히 외모가 잘생기거나 예쁜 것을 넘어서, 얼굴 표정이나 태도, 몸가짐 등이 단정하고 품위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옷과 관(모자)을 단정하고 깔끔하게 착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옷차림이 단정하고 격식에 맞으며, 주변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는 것을 포함합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용모단정(容貌端正)容(얼굴 용) : 얼굴, 용모. 생김새나 표정을 의미합니다. 貌(모양 모) : 모양, 형상. 외모나 모습.. 2025. 2. 4.
사자소학 배우기!! (사자소학 139번째 : 행필정직 언즉신실) 行必正直(행필정직)하고 言則信實(언즉신실)하며는 사자소학의 139번째 구절입니다.   행필정직 언즉신실(行必正直 言則信實)은 행동은 반드시 바르고 정직해야 하고, 말은 믿음직하고 진실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사람의 행동과 언어에 대한 도덕적 기준을 제시하는 말입니다. 이는 사람이 올바르게 살아가기 위해서는 행동과 말 모두 중요하며, 진실하고 성실한 자세로 삶에 임해야 함을 강조합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行必正直(행필정직)   行(다닐 행) : 가다, 행하다, 행동하다를 뜻합니다.必(반드시 필) : 반드시, 꼭을 의미합니다.正(바를 정) : 바르다, 옳다, 곧다를 뜻합니다.直(곧을 직) : 곧다, 바르다, 정직하다를 의미합니다. 言則信實(언즉신실)  言(말씀 언) : 말, 언어를 .. 2025. 2. 3.
사자소학 배우기!! (사자소학 138번째 : 비례물언 비례물동) 非禮勿言(비례물언)하며 非禮勿動(비례물동)이니라는 사자소학의 138번째 구절입니다.   비례물언 비례물동(非禮勿言 非禮勿動)은 예의에 맞지 않으면 말하지 말고, 예의에 맞지 않으면 행동하지 말라는 의미입니다. 즉, 모든 말과 행동이 예의에 맞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가르침을 담고 있습니다. 타인을 비방하거나 험담하는 말, 거짓말, 욕설, 상스러운 말 등을 경계하는 가르침입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非禮勿言(비례물언)非(아닐 비) : 아니다, 틀리다라는 의미입니다.禮(예절 례) : 예절, 법도, 예의라는 의미입니다.勿(말 물) : ~하지 말라, 금지라는 의미입니다.言(말씀 언) : 말하다, 말이라는 의미입니다. 非禮勿動(비례물동) 非(아닐 비) : 아니다, 틀리다라는 의미입니다.禮(예절.. 2025. 2. 2.
사자소학 배우기!! (사자소학 137번째 : 비례물시 비례물청) 非禮勿視(비례물시)하며 非禮勿聽(비례물청)하며는 사자소학의 137번째 구절입니다.   비례물시 비례물청(非禮勿視 非禮勿聽)은 예의에 어긋나는 것은 보지 말고 예의에 어긋나는 것은 듣지 말라는 뜻입니다. 즉, 예의에 어긋나는 말이나 소리를 듣지 않도록 주의하라는 의미입니다. 이 말은 공자의 가르침을 담은 유교 경전인 논어(論語)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공자는 예(禮)를 중요하게 여겼으며, 예에 맞는 행동과 마음가짐을 강조했습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非禮勿視(비례물시)非(아닐 비) : 아니다, 틀리다라는 의미입니다.禮(예절 례) : 예절, 법도, 예의라는 의미입니다.勿(말 물) : ~하지 말라, 금지라는 의미입니다.視(볼 시) : 보다, 주시하다, 관찰하다라는 의미입니다. 非禮勿.. 2025. 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