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자 공부/사자소학 배우기159

사자소학 배우기!! (사자소학 44번째 : 일기부모 기죄여산) 一欺父母(일기부모)면 其罪如山(기죄여산)이니라는 사자소학의 44번째 구절입니다.일기부모 기죄여산(一欺父母 其罪如山)은 한 번이라도 부모님을 속이면 그 죄가 산과 같다입니다. 부모님을 속이는 행위가 얼마나 큰 죄악인지를 강조하는 의미입니다. 즉, 부모님을 한 번 속이는 행위는 마치 산처럼 무겁고 큰 죄를 짓는 것과 같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단순히 부모 자식 간의 관계뿐만 아니라, 모든 인간관계에서 신뢰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한 번 깨진 신뢰를 회복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처음부터 진실되게 행동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一欺父母(일기부모)  一 (한 일) : 하나, 한번이라는 의미입니다.欺 (속일 기) : 속이다, 거짓말하다라는 의미입니다.父 (아버지.. 2024. 10. 14.
사자소학 배우기!! (사자소학 43번째 : 사필품행 무감자전) 事必稟行(사필품행)하고 無敢自專(무감자전)하라는 사자소학의 43번째 구절입니다.  사필품행 무감자전(事必稟行 無敢自專)은 모든 일은 반드시 보고하고 실행하며, 감히 자기 마음대로 하지 말라는 뜻입니다. 이는 부모님이나 상사와 같은 윗사람에게 의논하고 허락을 받은 후에 행동해야 한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조직이나 가정에서 협력과 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말이죠. 과거 권위주의적인 사회에서 상하 관계를 강조하고 개인의 자율성을 제한하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조직 내에서의 소통과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즉, 자신의 판단만으로 일을 처리하지 않고, 다른 사람들과 의견을 나누고 함께 일을 추진하는 자세를 의미합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 2024. 10. 14.
사자소학 배우기!! (사자소학 42번째 : 실당유진 상필쇄소) 室堂有塵(실당유진)이어든 常必灑掃(상필쇄소)하라는 사자소학의 42번째 구절입니다.  실당유진 상필쇄소(室堂有塵 常必灑掃)는 방이나 대청에 먼지가 있다면, 항상 반드시 물을 뿌리고 쓸어라는 뜻입니다. 이는 깨끗하고 정갈한 생활을 강조하는 내용입니다. 즉, 살고 있는 공간에 먼지가 쌓이면 즉시 청소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여기서 물을 뿌리고 쓸어 청소한다는 표현은 단순히 먼지를 제거하는 행위를 넘어, 마음까지 깨끗하게 정리하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室堂有塵 (실당유진)室 (집 실) : 방, 실내,  집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堂 (집 당) : 홀, 대청, 집, 집안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有 (있을 유) : 있다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塵 (티끌 진.. 2024. 10. 12.
사자소학 배우기!! (사자소학 38번째 : 부모책지 반성물원) 父母責之(부모책지)어시든 反省勿怨(반성물원)하라는 사자소학의 38번째 구절입니다. 부모책지 반성물원(父母責之 反省勿怨)은 부모님께서 꾸짖으시거든 반성하고 원망하지 말라는 뜻으로 부모님께 꾸지람을 들으면 자신의 잘못을 되돌아보고, 부모님을 원망하지 말라는 의미입니다. 즉, 부모의 꾸지람은 자녀의 성장을 위한 것이므로, 이를 통해 자신을 반성하고 더 나은 사람이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가르침을 담고 있습니다. 즉, 자녀들에게 부모의 말씀에 귀 기울이고, 자신의 잘못을 겸허하게 받아들이며, 스스로를 발전시키는 태도를 길러야 함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父母責之 (부모책지)父 (아버지 부) : 아버지를 의미합니다. 母 (어머니 모) : 어머니를 의미합니다. 責 (꾸짖을 책).. 2024. 10. 11.
사자소학 배우기!! (사자소학 37번째 : 부모애지 희이물망) 父母愛之(부모애지)어시든 喜而勿忘(희이물망)하라는 사자소학의 37번째 구절입니다. 부모애지 희이물망(父母愛之 喜而勿忘)은 부모님께서 나를 사랑해 주시면 기뻐하며 잊지 말라는 의미입니다. 부모님의 사랑을 받을 때 그 사랑을 기뻐하고 감사히 여기며, 그 은혜를 잊지 말라는 의미입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父母愛之 (부모애지)父 (아버지 부) : 아버지를 의미합니다. 母 (어머니 모) : 어머니를 의미합니다. 愛 (사랑 애) : 사랑하다를 의미합니다. 之 (갈 지) : 그것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喜而勿忘 (희이물망) 喜 (기쁠 희) : 기쁘다를 의미합니다. 而 (말 이을 이) : 그리고를 의미합니다. 勿 (말 물) : ~하지 말라를 의미합니다. 忘 (잊을 망) : 잊다를 의미합니다. 2024. 10. 10.
사자소학 배우기!! (사자소학 36번째 : 의복대화 물실물렬) 衣服帶靴(의복대화)를 勿失勿裂(물실물렬)하라는 사자소학의 36번째 구절입니다. 의복대화 물실물렬(衣服帶靴 勿失勿裂)은 옷을 입고 구두를 신을 때, 띠를 묶지 않으면 끊어지고, 띠를 묶고 구두를 신지 않으면 잃어버린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즉, 모든 것을 제대로 하라는 경고와 조언을 담고 있습니다. 즉, 개인의 소지품을 소중히 여기고 잘 관리하라는 당부의 말입니다. 특히, 옷과 신발은 일상생활에서 꼭 필요한 물건이므로, 이를 잃어버리거나 망가뜨리지 않도록 주의하라는 의미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衣服帶靴(의복대화) 衣 (옷 의) : 옷, 의복을 나타내는 한자입니다.服 (옷 복) : 옷, 복장, 입다를 의미합니다.帶 (띠 대) : 띠, 끈을 나타내는 한자입니다... 2024. 10. 9.
사자소학 배우기!! (사자소학 35번째 : 신체발부 물훼물상) 身體髮膚(신체발부)를 勿毁勿傷(물훼물상)하라는 사자소학의 35번째 구절입니다.신체발부 물훼물상(身體髮膚 勿毁勿傷)은 몸과 머리털과 피부를 훼손하지 말고 상처를 입히지 말라는 의미로, 부모님께 받은 몸을 소중히 여기라는 가르침입니다. 이 문장은 부모에게서 물려받은 몸을 함부로 다뤄서는 안 된다는 효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즉, 자신의 몸을 소중히 여기는 것은 효를 실천하는 첫걸음이라는 것입니다. 또한 몸을 소중히 여기는 것은 단순히 부모를 위한 것이 아니라, 자신을 존중하고 사랑하는 행위이기도 합니다. 건강을 해치거나 외모를 망가뜨리는 행위는 결국 자신에게 해가 되기 때문입니다. 무분별한 행동이나 과도한 쾌락 추구는 몸을 해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장은 절제와 자제를 통해 건강한 삶을 살아야 한다는 .. 2024. 10. 8.
사자소학 배우기!! (사자소학 34번째 : 부모무식 물사아식) 父母無食(부모무식)이어시든 勿思我食(물사아식)하라는 사자소학의 34번째 구절입니다. 부모무식 물사아식(父母無食勿思我食)은 부모님께서 드실 음식이 없으시거든 내가 먹을 것을 생각하지 말라는 뜻입니다. 즉, 부모님이 배고프신데 자식이 자기 먹을 것을 먼저 생각하지 말고 부모님을 먼저 챙기라는 의미입니다. 이는 부모님이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을 때, 자식이 자신의 안위를 먼저 생각하지 말고 부모님을 먼저 생각하고 배려해야 한다는 효(孝)의 가르침을 담고 있습니다. 부모님의 안녕과 행복을 우선시하는 마음가짐을 강조하는 내용입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父母無食(부모무식)   父 (아버지 부) : 아버지를 의미합니다. 母 (어머니 모) : 어머니를 의미합니다. 無 (없을 무) : 없다를 의미.. 2024. 10. 7.
사자소학 배우기!! (사자소학 33번째 : 부모무의 물사아의) 父母無衣(부모무의)어시든 勿思我衣(물사아의)하며는 사자소학의 33번째 구절입니다.  부모무의 물사아의(父母無衣 勿思我衣)는 부모님께서 입을 옷이 없으시거든 내가 입을 옷을 생각하지 말라는 뜻입니다. 즉, 부모님이 어려운 상황에 처해 계실 때, 자신의 편안함이나 욕구를 먼저 생각하지 말고 부모님의 필요를 우선으로 하라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이 구절은 효도와 부모님에 대한 존경을 강조하는 내용으로, 부모님의 어려움을 먼저 생각하고 그에 맞춰 행동하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父母無衣(부모무의) 父 (아버지 부) : 아버지를 의미합니다. 母 (어머니 모) : 어머니를 의미합니다. 無 (없을 무) : 없다를 의미합니다. 衣 (옷 의) : 옷을 의미합니다.   勿思.. 2024. 10. 6.
사자소학 배우기!! (사자소학 28번째 : 여아음식 궤이수지) 與我飮食(여아음식)이어시든 跪而受之(궤이수지)하라는 사자소학의 28번째 구절입니다.여아음식 궤이수지(與我飮食 跪而受之)는 나에게 음식을 주시거든, 꿇어앉아서 그것을 받아라입니다. 이는 공손하고 겸손한 태도를 강조하는 내용입니다. 부모님께 공손함과 예의를 강조하는 내용으로, 음식을 받을 때 겸손한 태도로 받아야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與我飮食(여아음식) 與 (더불 여) : 더불어, 주다를 의미합니다. 我 (나 아) : 나, 우리를 의미합니다. 飮 (마실 음) : 마시다를 의미합니다. 食 (밥 식) : 음식, 먹다를 의미합니다.   跪而受之(궤이수지) 跪 (굻어앉을 궤) : 꿇어앉다를 의미합니다. 而 (말 이을 이) : 그리고, ~하면서를 의미합니다. 受 (.. 2024. 10. 5.
사자소학 배우기!! (사자소학 27번째 : 헌물부모 궤이진지) 獻物父母(헌물부모)어든 跪而進之(궤이진지)하라는 사자소학의 27번째 구절입니다. 헌물부모 궤이진지(獻物父母 跪而進之)는 부모님께 물건을 드릴 때는 꿇어앉아서 올려라입니다. 이는 부모님께 예의를 갖추어 물건을 드리는 방법을 설명하는 구절입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獻物父母(헌물부모)   獻 (드릴 헌) : 드리다를 의미합니다.物 (물건 물) : 물건을 의미합니다.父 (아버지 부) : 아버지를 의미합니다. 母 (어머니 모) : 어머니를 의미합니다.   跪而進之(궤이진지) 跪 (꿇어앉을 궤) : 꿇어앉다를 의미합니다. 而 (말 이을 이) : ~해서, 그래서를 의미합니다. 進 (나아갈 진) : 올리다, 주다를 의미합니다. 之 (갈 지) : 그것을 의미합니다. 2024. 10. 4.
사자소학 배우기!! (사자소학 18번째 : 신물원유 유필유방) 愼勿遠遊(신물원유)하고 遊必有方(유필유방)하라는 사자소학의 18번째 구절입니다. 신물원유 유필유방(愼勿遠遊 遊必有方)은 부디 먼 곳에 가서 놀지 말고, 놀더라도 반드시 일정한 곳에 있어라는 의미입니다. 이는 부모님이 자녀에게 멀리 가지 말고, 놀더라도 정해진 장소에서 놀라는 당부의 말입니다. 각 한자의 음과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愼勿遠遊(신물원유)  愼 (삼갈 신) : 조심하다, 신중하다라는 의미입니다. 勿 (말 물) : ~하지 말라는 의미입니다.遠 (멀 원) : 멀다라는 의미입니다. 遊 (놀 유) : 놀다, 여행하다라는 의미입니다.   遊必有方(유필유방)  遊 (놀 유) : 놀다, 여행하다라는 의미입니다.必 (반드시 필) : 반드시라는 의미입니다. 有 (있을 유) : 있다라는 의미입니다. 方 (모.. 2024. 10. 3.